◆ 지방간이 있습니다. |
|
'지방간'이라는 진단을 받으셨군요.
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술 소비량이 늘고 식생활이 서구화됨으로써 지방간 환자가 현저히 늘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.
자! 지방간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|
|
|
|
1. 지방간이란?
지방간은 간염과는 달리 간세포가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지방대사에 장애로서 간세포에 중성지방이 지나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.
그러니까 초음파를 해서 보면 간 표면에 물방울 같은 지방 입자가 송글송글 맺혀있는 형상이지요.
결국 만성으로 오래된 지방간이 아니라면 간 기능에는 큰 이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. |
|
2. 증상
지방간은 심한 경우에만 증상이 동반됩니다.
- 식욕부진, 오심, 구토, 복부팽만. 초음파 상 간 비대가 보임 |
|
3. 원인
- 과도한 음주
- 비만, 당뇨병의 합병증
- 빈혈 등 장기간의 단백질 부족
- 지방의 과잉 섭취
- 항생제나 약물복용 |
|
4. 치료 |
|
1) 식이요법
- 술의 섭취를 제한합니다. (알코올은 지방대사에 장애를 주어 간에 계속 축적됩니다.)
- 적절한 영양 섭취: 표준체중 유지
- 식사는 조금씩 나누어 하루 5-6회 하는 것을 권합니다.
- 단음식, 기름진 음식을 피합니다.
c.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합니다.
- 간세포 재생을 위해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균형있게.
d. 충분한 무기질과 비타민
- 비타민은 간에서 각종 대사와 효소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e. 주의해야할 음식
: 기름진 음식, 튀긴 음식, 소금기가 많은 음식, 조미료를 많이 쓴 음식
탄산음료나 카페인 음료
2) 외과적 요법
3-6개월이 지나도 신통이 재발되지 않고 결석이 요관의 어느 부위에 걸려 움직이지 못할 경우, 결석을 수술에 의해 도려내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.
그러나 이미 결석에 의해 윗쪽의 요관이나 신우가 확대되어 있거나 세균감염이 심해 신장기능이 손상될 것으로 예상되면 하루 속히 수술요법을 강구해야 됩니다.
최근에는 체외 충격파 쇄석술(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: ESWL), 레이저 광선 등으로 결석을 분해시키는 첨단적인 방법이 개발되어 결석제거가 실용화 되고 있습니다. |
|
5. 검사결과에 대한 이해
일단 결석이 발견되면 일차적으로 자연 배출을 기다려 봅니다.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부작용을 항상 염두에 주고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
더 자세한 안내는 이랜드 클리닉으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. |
 |
|